-
NEWS
-
[보도] “네패스, 반도체 후공정인 패키징 및 테스트 기술력 보유” -뉴스투데이
K-반도체 전략에 맞춘 첨단 패키징 플랫폼 구축[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네패스는 패키징 기술을 근간으로 사업화에 성공한 플립칩 범핑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동차 등 다양한 칩셋용 반도체 범핑에 대한 다수의 기술을 보유한 반도체 파운드리 전문기업이다.양기보 한국기업데이터 전문위원은 “네패스는 1990년 12월에 반도체 및 전자관련 부품, 전자재료 및 화학제품 제조, 판매를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된 후 1999년 1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주력사업은 반도체 후공정인 패키징”이라며 “종속회사 및 계열회사로 이루어진 15개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양기보 전문위원은 “네패스의 주력으로 매출의 80%을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 사업부문은 웨이퍼 레벨 패키지(이하 ‘WLP’), FOWLP, FOPLP, 테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자재료 사업부문은 제조공정용 현상액, 칼라 필터용 현상액, 세정제, 연마제 등의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차전지 사업부문은 이차전지용 리드탭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양 위원은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고객은 삼성전자, DB하이텍 등으로 엔드팹(END-FAB) 기술을 턴키 베이스로 공급하여 첨단 백엔드 파운드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수요처와의 공동개발 및 중장기양산 계획을 공유하며 안정적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네패스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WLP, FOWLP, FOPLP(FAN OUT PANEL LEVEL PACKAGING), SiP(SYSTEM IN PACKAGE) 등의 제품 공정을 할 수 있는 범핑, 리디스트리뷰션 레이어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반도체 후공정 시장에 대하여 글로벌 상위 고객들과 협업하며 세계시장을 이끌어갈 첨단 기술 및 생산능력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며 “또한 FOWLP FOPLP 관련 원천기술과 공정 혁신 기술을 활용하여 첨단 혁신 생산 설비인 를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반도체의 핵심 밸류체인 형태로 성장해나가고 있다”고 언급했다.그는 “최근 반도체 패키징에 쓰이는 PCB 공급 부족으로 전례 없는 대란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에 네패스는 2021년 67월에 온라인으로 열린 글로벌 전자부품 전시회 전자부품 및 기술박람회(ECTC)에서 인쇄회로기판(PCB)를 배제한 SiP(SYSTEM IN PACKAGE) 기술을 공개했다”며 “네패스는 칩의 바깥으로 재배선 및 범핑을 확장하여 다수의 I/O를 지닌 칩을 미세패키징을 진행하 빠른 신호전달 속도와 높은 퍼포먼스로 고성능 IC를 제조할 수 있는 FOWLP, FOPLP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또한 IoT, 자율주행 등 IT 디바이스 고사양화로 시스템반도체의 기술변화를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FOWLP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하략-장원수 기자 jang7445@news2day.co.kr[원문보기 = 뉴스투데이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10816500042]
2021-08-17 -
[보도]첨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 무장 '네패스' -전자신문
테스트부터 패키징까지반도체 후공정 턴키 제공첨단 기술로 칩 성능 개선네패스는 우리나라의 대표 반도체 후공정(OSAT) 기업이다. 반도체 제조는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그려 반도체 다이를 만드는 전공정과 다이를 테스트하고 패키징해 칩으로 만드는 후공정으로 나뉜다. 전공정은 초미세 공정으로 전환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반도체 칩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한 후공정이 주목받는 배경이다. 네패스는 테스트부터 패키징까지 후공정의 거의 모든 과정을 '턴키'로 제공한다.네패스는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과 그 역사를 함께 한다. 1990년 네패스 전신인 크린크리에이티브가 설립된 후 2년 만에 반도체·디스플레이용 미세회로 형성용 현상액을 첫 국산화했다. 초기에는 화학 소재 사업에 집중했다. 2000년대 들어 창업자인 이병구 네패스 회장은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바로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사업에 나서 본격적인 반도체 산업에 뛰어든 것이다. 당시 국내에는 시스템 반도체, 그 중에서 첨단 패키징 기술은 굉장히 생소한 영역이었다. 네패스는 시스템 반도체 고성능화가 이뤄지면서 패키징 기술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고 예견하고 본격적인 사업화에 나섰다.2000년 회사 내 반도체사업부를 신설하고 2001년 당시 150억원을 투자해 충북 오창에 부지 3000평 규모 패키징(플립침용 범프)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20년이 지난 지금 네패스의 반도체 부문은 계열사 포함 전체 매출의 83%를 차지할 정도로 핵심 사업으로 부상했다.네패스는 끊임없는 연구개발(R&D)과 인프라 투자로 패키징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이 됐다. 특히 팬아웃(FO) 분야에 압도적 우위를 자랑한다. 팬아웃은 반도체 다이 밖까지 재배선층(RDL)을 확장시켜 반도체 칩의 신호 입출력(I/O)을 늘리는 기술이다. 전력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칩의 신호 처리 능력도 개선할 수 있다. TSMC가 삼성으로부터 애플 칩 생산을 가져올 수 있었던 것도 이 팬아웃 기술 때문으로 알려졌다.네패스의 팬아웃 패키징은 자회사인 네패스라웨와 네패스하임이 담당한다. 네패스는 팬아웃 패키징에 힘을 싣기 위해 2020년 2월 네패스라웨를 물적 분할했다.<전통 패키징 기술과 네패스가 제공하는 첨단 패키징 기술(점선 안) 비교>■강점과 기회네패스 강점은 첨단 팬아웃 패키징 기술에 있다. 팬아웃웨이퍼레벨패키징(FO-WLP)과 팬아웃패널레벨패키징(FO-PLP)이다.전통적인 패키징은 웨이퍼에 회로를 그려 반도체 다이를 만든 후(전공정), 웨이퍼를 개별 다이로 자른다. 이를 다시 패키징 기판에 범핑해 연결하는 방식이다. 공정 과정이 여러 단계고 패키징 기판이 필요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이런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웨이퍼레벨패키징(WLP)이다. WLP는 웨이퍼에 바로 RDL를 형성해 공정 과정을 줄인다. 또 웨이퍼에서 바로 패키징하기 때문에 패키징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다. 비용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칩을 가볍고 얇게 만들 수 있다. 네패스에서 물적 분할한 네패스라웨가 글로벌 전장부품 업체에 FO-WLP을 제공하고 있다.네패스는 한발 더 나아가 FO-PLP까지 상용화했다. PLP는 웨이퍼에 직접 패키징하는 WLP와 달리 반도체 다이를 사각형 패널에 배치해 패키징하는 기술이다. 원형에서 패키징하는 것보다 생산성은 높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네패스는 가로, 세로 각각 600mm 크기 사각 패널을 사용하는데 300mm(12인치) 웨이퍼 대비 장당 5~6배 많은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다. 보통 PLP는 WLP 방식보다 생산성이 96%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네패스 팹 전경. <사진=네패스>>세계에서 FO-PLP 기술을 가진 회사는 네패스와 삼성전자, ASE, 파워텍, JCET 등이 있다. 네패스는 FO-PLP 패키징 설비 등 인프라 구축에 2019년 말부터 20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충북 괴산군 청안에 약 6만평 규모 패키징 공장을 세웠다. 현재 양산 준비 단계로 알려졌다. 글로벌 팹리스 업체의 전력관리반도체(PMIC) 패키징에 FO-PLP를 적용하기 위한 성능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최종 양산 승인을 받으면 PMIC에 FO-PLP를 적용한 세계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이르면 하반기부터 매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네패스 패키징 매출 가운데 PMIC와 디스플레이구동칩(DDI)가 절반이다. PMIC는 네패스의 주력이기도 하다. 국내 주요 고객사의 PMIC를 패키징, 테스트하고 있다. 최근 정보기술(IT) 기기가 고사양화하면서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위한 PMIC 채택이 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PMIC 침투율이 높은데, 롱텀에벌루션(LTE) 스마트폰 대비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에서 PMIC가 2~3개 더 많이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5G 스마트폰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어 네패스 패키징 사업에는 호재다.네패스 계열사 간 시너지 확대가 용이하다는 것도 또 다른 강점이다. 네패스라웨과 2020년 11월 상장한 네패스아크가 대표적이다. 네패스가 주력으로 하는 시스템반도체는 메모리보다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이며 기술 난도가 높아 후공정 생태계 분업화가 필요하다. 네패스는 WLP, 네패스라웨는 팬아웃, 네패스아크가 테스트를 맡으며 고객사가 요구하는 '원스톱' 후공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하략-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원문보기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10729000082]
2021-07-30 -
네패스, 하반기 채용연계형 인턴사원 모집
네패스가 2021년도 하반기 채용연계형 인턴사원을 공개 모집한다.네패스는 이달 19일부터 8월 1일까지 2주간 자사 채용사이트에서 온라인 서류접수를 진행하며, 기졸업자 및 2021년 8월 졸업예정자 등 2021년 9월부터 인턴활동이 가능한 지원자에 한해 접수가 가능하다.모집 분야는 ▲반도체 ▲IT ▲2차전지 ▲AI ▲경영지원 ▲교육 등 6개 분야이며 채용절차는 서류 전형, 인성검사, 1,2차 통합면접 순으로 진행된다.네패스는 금번 채용연계형 인턴사원 모집 합격자를 대상으로 3개월간의 인턴실습을 진행한 후 평가 및 최종 CEO 면접을 거쳐 정규직 신입사원으로 채용할 예정이다.채용에 대한 상세요건은 네패스 채용사이트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채용사이트 바로가기)
2021-07-23 -
반도체사업부 김남철 사업부장, '2021 충북지역본부 산업안전보건의 날' 기념행사서 산업재해 예방 유공 감사패 수상
지난 7월 15일, 안전보건공단 충북지역본부가 주관하는 '2021 충북지역본부 산업안전보건의 날' 기념행사에서 반도체사업부 김남철 사업부장이 산업재해 사고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과 활동을 전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재해 예방 유공자로 선정되어 감사패를 수여받았다.이날 행사는 코로나19 확산을 감안해 참석 인원을 최소화하고 유공자 시상식만 간략하게 진행되었으며, 환경안전센터 길호섭 센터장이 대리 참석하여 수상했다.
2021-07-16 -
환경안전센터 길호섭 센터장, 제26회 환경의 날 맞아 환경 유공 충청북도지사 표창 수상
지난 6월 4일 반도체사업부 환경안전센터 길호섭 센터장이 환경 유공자로 선정되어 충청북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충북도는 제26회 환경의 날을 맞아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한편, 도내 환경 유공자를 표창해 그 공적을 치하하였으며, 길호섭 센터장은 환경안전 업무에 적극적인 자세로 사업장 환경개선 및 지역환경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장을 수상했다.길호섭 센터장은 "대표로 이 수상을 했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궂은일 마다하지 않고 땀 흘린 환경안전센터 구성원들이 받은 상이라 생각하고 있다."라며, 더불어 "환경안전이란 것이 매출이나 이익같이 즉각적인 효과로 나타나지 않음에도, 항상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시는 김남철 사업부장님의 관심에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라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2021-07-16 -
네패스, '2021년 사업주훈련 우수사례 지역 경진대회'서 대기업/중견기업 부문 대상 수상
▲왼쪽에서 세번째 이태정 스타(인재개발팀)지난 6월 16일 한국산업인력공단 대전지역본부에서 주최한 ‘2021년도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이하 사업주훈련) 우수사례 지역 경진대회’에서 네패스가 대기업/중견기업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본 대회는 사업주훈련에 참여한 기업의 우수사례를 발굴·공유하고 인적자원개발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날 발표를 맡은 인재개발팀의 이태정 스타는 2018년부터 실시한 신입사원 입문교육의 훈련과정 설계 및 운영에 대해 발표했으며, 최근 3년간 높은 수료률과 참여율을 이끌어내 다양한 훈련성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를 받았다.네패스는 대전권 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함으로써 전국대회 참가 자격을 얻어 오는 9월 ‘직업능력의 달’ 인적자원개발 콘퍼런스에서 사례 발표를 하게 된다.한편, 사업주훈련이란 사업주가 소속 근로자, 채용 예정자, 구직자 등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실시하는 교육훈련으로서 교육훈련을 실시할 때 이에 소요되는 훈련 비용의 일부를 고용보험에서 지원해 주는 제도이다. 네패스는 지난 2018년부터 본 사업에 참여하여 인재 개발 및 양성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2021-06-18 -
반도체 PCB 대란 심화.. 기판 사용하지 않는(Substrate-less) 첨단 패키지 기술에 '주목'
- 네패스, ECTC서 기판 배제한 시스템인패키지(System in package) 기술 공개 - 기판 공급난 해소할 수 있는 대안 기술로 업계‘주목’…신뢰성 테스트 마쳐 최근 반도체 패키징에 쓰이는 기판 공급 부족으로 전례 없는 PCB 대란이 벌어지며 이를 대체하는 FOWLP와 FOPLP 기술 기반의 SiP 솔루션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첨단 후공정 파운드리 전문 업체인 네패스는 2021전자 부품 및 기술박람회(ECTC)에서 Substrate-less type의 SiP 기술을 소개하며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네패스가 공개한 'nSiP(nepes System in Package)'는 시스템반도체 패키지 로드맵의 리딩-엣지 기술로서 기판과 와이어본딩을 배제한 엔드팹(End-fab) 기술을 바탕으로 첨단 반도체가 추구하는 고성능, 고집적, 소형화 요구에 가장 최적화된 패키징 솔루션이다. 기존 SiP에서 사용하던 PCB 기판 대신 WLP와 PLP기반의 RDL(Redistributed Layers, 재배선) 공정으로 미세패턴을 구현해 크기는 30% 이상, 두께는 60%이상 줄일 수 있다. 또한, 패키징 개발 기간도 Substrate type 대비 50% 이상 단축 가능하다. 현재 nSiP는 자체 신뢰성 테스트를 마치고 고객에 샘플을 제출해서 평가 중에 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Substrate 및 PCB의 공급 부족으로 반도체 제조사들이 제품 출시와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네패스는 최근 End-fab 기술을 기반으로 한 FOPLP 공정 개발을 마치고 양산을 앞두고 있다. 네패스 CMO 김태훈 사장은 "PLP와 nSiP는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반도체 및 부품의 고집적화 이슈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첨단 패키징 기술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반도체 기판의 공급난 해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2021-06-09 -
네패스, 2021 전자부품 및 기술 박람회(ECTC) 참여
▲2021 ECTC에 참가한 네패스 Virtual Conference 화면▲2021 ECTC 테크니컬 프로그램에서 nSiP 솔루션을 소개하는 미래기술기획본부 강인수 본부장네패스가 2021년 6월 1일부터 7월 4일까지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전자 부품 및 기술박람회(ECTC)에 참여해 엔드팹 기술 기반의 첨단 패키징 기술을 소개한다.올해로 71회째를 맞는 ECTC는 패키징, 전자부품 및 기술교육 분야에서 전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행사로 106여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참여하는 협력 및 기술교류의 장이다.네패스는 이 행사에 컨퍼런스 스폰서로 참여하며 'nSiP(System in Package) Platform for Various Module Packaging Applications'(강인수, 김종헌, 이준규, 신원선, 김남철, 박상용)과 '600mm FOPLP as a Scale Up Alternative to 300mm FOWLP With 6-Sided Die Protection'(Jacinta Aman Lim, 박윤묵, Edil De Vera, 김병철, Brett Dunlap )라는 주제로 발표 영상을 공개한다.행사정보: https://www.ectc.net■발표 영상 'nSiP(System in Package) Platform for Various Module Packaging Applications' : https://youtu.be/-i0k_kHHGJU'600mm FOPLP as a Scale Up Alternative to 300mm FOWLP With 6-Sided Die Protection' : https://youtu.be/zskiFK--8gQ■브로슈어nSiP : https://url.kr/1yfwnenPLP : https://url.kr/6plyox
2021-06-02 -
네패스 AI사업부, (주)심플랫폼과 AI기반 예지보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네패스 AI사업부가 지난 5월 26일 네패스 서울캠퍼스 대회의실에서 (주)심플랫폼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네패스 AI사업본부 도재헌 본부장과 마케팅팀 송은명 팀장, 솔루션팀 이재용 팀장, 심플랫폼 임대근 대표 및 실무진 등이 참석했다.심플랫폼은 IoT 기반 산업용 AI 전문 업체로, AI를 활용한 산업용 데이터를 분석해 IoT와 AI를 완결된 형태(End-to-end)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반도체 후공정 및 테스트 장비 등에 적용할 AI 예지보전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한 뒤, 전사 공정 장비 확대 적용을 위한 업무를 추진할 예정이다.특히, AI사업부는 금번 협업을 통해 네패스 전사 생산 장비의 유지-보수-관리에 AI 기술을 접목한 예지보전 시스템(AI 기반 nepes PdM(Predictive Maintenance)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실시간 운전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과 장애 요인의 추적 및 대응 등 공정 장비 관리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날 업무 협약식에 참석한 AI사업본부 도재헌 본부장은 “예지보전은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해 첨단 Back-end Foundry로서의 네패스의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1-06-01 -
네패스, 인공지능(AI) 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실증랩 개소식 참석
5월 24일 네패스가 충북과학기술혁신원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실증랩 개소식'에 참석했다.이날 행사에는 조경식 과기정통부 2차관, 이시종 충북도지사, 변재일 국회의원 등 관계기관장들과 솔루션 개발에 참여할 AI전문기업을 비롯해 네패스·심텍·에코프로비엠·코스메카코리아 등 수요기업이 참석했으며, 네패스는 반도체사업부 김남철 사업부장과 전사CDO실 안정호 실장이 대표로 참석했다.이번에 개소하는 실증랩은 면적 261㎡ 규모로, 인공지능 개발 기업이 지역기업에서 보유한 산업데이터를 가공·학습해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를 제공한다. 특히 수요기업에서 제공하는 영업비밀 성격의 데이터가 안전하게 수집·활용될 수 있도록, 물리적 보안시설·통신망, 접근권한 설정·관리 등 각종 보안시스템을 철저히 설계·구현했다.한편, 네패스는 지난 4월 '충북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사업'의 수요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AI 전문기업과 함께 △예지 정비를 위한 설비 모니터링 및 분석 솔루션 기술 개발 △반도체 웨이퍼 외형 불량 판별 검사 시스템화 △Bump & Package 공정 생산 운영 최적화 등 총 4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2021-05-25 -
네패스아크, 국제 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CC) 인증 획득
지난 5월 16일 네패스아크가 국내 테스트 하우스로는 두 번째로 국제 CC인증을 취득했다. CC인증은 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을 뜻하는 국제 보안인증으로, 네패스아크는 국제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독일 연방 사무소의 연방정보보안청(BSI)을 통해 인증을 받았다.네패스아크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테스트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제품 신뢰도 제고를 위해 CC인증 획득을 추진하였으며, 작년 말 인증 확정 후 약 6개월간의 심사를 거쳐 본 인증서를 취득하였다. 이로써 네패스아크는 보안기능이 있는 IC의 테스트 및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IT 정보 보호 및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보안기능을 넣은 반도체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1-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