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보도]네패스, 첨단 패키징 기술로 보급형 엣지 컴퓨팅 시장 공략 - 시사저널e
[시사저널e=고명훈 기자] 반도체 후공정(OSAT) 전문기업 네패스가 팬아웃(FO) 공정을 기반으로 한 첨단 패키징 기술로 보급형 엣지 컴퓨팅 시장을 공략한다. RDL(재배선) 인터포저와 실리콘 브릿지 등 기술을 토대로 2.5D 패키징, 칩렛 시장 등을 공략할 계획이다.강인수 네패스 반도체연구소장(전무)은 2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첨단 전자실장 기술 및 시장 동향 세미나’에서 “지금 온디바이스(엣지) AI를 얘기하지만, 실질적으로 거기에 적합한 알고리즘이 엣지 컴퓨팅으로 전환까지는 안 된 것 같다”며 “앞으론 추론하는 AI 시장이 학습 시장보다 10배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바꿔 말하면 아직 우리가 누릴 수 있는 AI 시장은 오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진정한 AI 시대는 보급형 엣지 컴퓨팅으로의 전환이 됐을 때 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하략-[기사원문보기 = 네패스, 첨단 패키징 기술로 보급형 엣지 컴퓨팅 시장 공략 - 시사저널e ]
2025-04-10 -
[보도]청주시-㈜네패스, 고성능 첨단 반도체 생산시설 증설 투자협약 체결
청주시는 충청북도와 시스템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전문기업인 ㈜네패스의 1천600억원대 규모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협약은 지난 27일 진행됐다.㈜네패스는 시스템 반도체 첨단 패키징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견기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고성능 AI 반도체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시설을 오창읍 오창2공장에 증설 투자할 계획이다.증설로 인해 ㈜네패스는 AI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패키징, 칩렛(2.5D, 3D)* 패키징 글로벌 공급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칩렛(Chiplet) : 단일 칩을 여러 개의 소형 모듈화된 칩으로 나누어 설계 및 제조하는 기술. AI 반도체와 HBM(고대역폭메모리)을 하나의 패키지로 집적하는데 주로 사용.청주시는 기업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네패스는 신규 고용 시 지역민 우선 채용, 지역 건설업체 참여, 지역 자재 구매 등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에 적극 동참할 예정이다.시 관계자는 “이번 네패스의 투자를 통해 청주는 첨단 반도체산업 중심지로서 위상이 한층 더 공고해질 것”이라며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관련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이병구 ㈜네패스 대표이사는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로봇 등 AI용 반도체 수요증가에 적극 대응해 K반도체 클러스터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더 큰 성장을 이룰 것”이라며 “지역사회와 상생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청주시-㈜네패스, 1600억 ‘투자 협약’…AI 반도체 생산시설 확장 | Save Internet 뉴데일리충북도·청주시, 네패스와 1천600억원 규모 투자협약 | 연합뉴스
2025-03-31 -
네패스,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 참석해 기업 소개... '우수 인재' pool 확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네패스 부스를 찾아 설명을 듣고 있다.네패스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간 개최된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에 참가했다. 이번 박람회는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이 공동 주최하며, 각 부처가 모집한 주요 분야별 120여 개 기업이 참석했다.네패스는 월드클래스 관에 마련된 부스에서 이틀간 약 200명의 구직자를 대상으로 채용 상담 및 면접을 진행하였다. 특별히, 개막식 이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비롯한 각 부처 장관들이 네패스 부스를 방문해 기업 및 기술 소개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네패스 인사 담당자는 "청년 구직자들과 주요 정부 부처에 네패스를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라며, "금번 인재 풀(pool) 확보로, 추후 반도체 공정 엔지니어 대규모 채용 진행 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2025-03-24 -
[네패스야하드] 제 1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제 15 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삼가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에 의하여 제1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03월 28일(금) 오전 10시 40분 2. 장소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수옥정길 175-1 웨스트오브가나안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나. 부의안건 n 제1호 의안 : 제15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n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n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n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2025년 03월 13일 주 식 회 사 네 패 스 야 하 드 대 표 이 사 이 병 구 (직인생략)
2025-03-13 -
[보도]네패스 코코아팹, `24년도 디지털새싹`사업 성료 및 우수 프로그램 선정
반도체·인공지능 전문기업 네패스(대표 이병구)의 디지털 교육브랜드 '코코아팹'이 2024년 디지털새싹 교육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2022년부터 3년 연속 디지털새싹 사업을 수행한 코코아팹은 2024년에도 디지털새싹 운영기관으로 활동하며 디지털교육 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디지털새싹은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추진하는 디지털 인재양성 사업으로 전국의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SW)와 인공지능(AI) 등 수준 높은 디지털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및 학교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마련되었다.코코아팹은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서울·인천 지역의 300여 개 학교, 7,600여 명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교육을 제공하였다. 특히 중·고등학교 모집인원을 대폭 늘려 약 51%의 중·고등학생이 참여했으며, 40여 개의 인공지능 선도학교와 도서 벽지 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거점형 교육을 추가 개설해 약 600명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디지털 학습 경험을 제공하였다.- 하략 - 출처: 네패스 코코아팹, `24년도 디지털새싹`사업 성료 및 우수 프로그램 선정 - 디지털타임스
2025-02-26 -
네패스, 직책자 대상으로 MVC 워크샵 진행
네패스가 지난 1월 14일, 15일 충북대학교 융합기술원에서 사내 직책자를 대상으로 Mission, Vision, Core Value(MVC)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MVC 워크샵은 네패스의 MVC 공감, 인식, 실천 총 세 가지 모듈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미션·비전·핵심가치 이해를 통한 직책자들의 사명감 증진, 조직의 일체감 강화 및 시너지 극대화, 구체적 행동 실천을 통한 긍정적 직원 경험 강화를 목표로 하였다. 첫 번째 모듈 'MVC 현황진단' 차시에 워크샵 참가자들은 60가지 조직문화 특성 카드와 조별 토론을 통해 네패스의 조직문화를 진단하고 리더 간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두 번째 모듈 'MVC의 명확한 이해'에서는 뇌과학 전문가 이민주 겸임교수의 특강을 들으며 네패스의 3.3.7. Life가 개인과 조직에게 가져오는 긍정 효과를 배우고, 네패스 경영설계도 강의로 네패스의 경영이념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마지막 'Action Item 도출' 모듈에서는 강의 내용의 구체적 실천을 위한 Work way 및 일터에서의 사명선언문을 작성하였다. MVC 워크샵에 참여한 한 네패스 직책자는 "미션 비전 핵심가치에 대하여 파트원들과 나눠보고자 한다"며, "파트원들을 전적으로 믿어주며 업무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배려와 칭찬 등 소통을 많이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 다른 참석자는 "집단지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는 목표를 나누었다.
2025-01-23 -
[보도]네패스 디지털 교육 활성화 기여, 2년 연속 교육부 장관 표창 수상 - 디지털타임즈
네패스(대표 이병구)는 지난 10일 '디지털 교육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장을 2년 연속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네패스는 디지털새싹 운영 주관기관으로서 체계적인 운영과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교육체제로의 전환에 기여한 공로를 높게 인정받아, 네패스 교육사업팀의 유현국 수석, 송지연 책임, 정혜민 선임이 수상했다. 이는 단일 기관 기준 최다 수상 기록이다.또한 이날 열린 제3차 디지털새싹 컨퍼런스에서 시도 교육청 장학사와 협력기관, 참여교사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네패스의 이채윤 PM(사업책임자)이 우수사례를 발표하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노하우와 향후 디지털 교육 고도화를 위한 발전 방향을 공유하여 참석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았다.인공지능·반도체 중견기업 네패스는 2013년부터 디지털 교육 브랜드 '코코아팹'을 런칭하여, 디지털 전환에 대응할 수 있는 대한민국 미래인재 육성과 교육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공교육 기반의 디지털 교육사업에 주력해 왔다. 대표적으로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추진하는 '디지털새싹'에 2022년부터 주관기관으로 4회 연속 '우수' 운영기관 평가를 받아 높은 교육 수준과 운영 역량을 인정받았다. 네패스 코코아팹은 전국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선도적인 디지털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공교육 보완과 디지털 교육 격차 완화를 위해 선도적인 활동을 해오고 있다.유은규기자 ekyoo@dt.co.kr[원본링크] - 네패스 디지털 교육 활성화 기여, 2년 연속 교육부 장관 표창 수상 - 디지털타임스
2025-01-14 -
네패스, 2024인공지능반도체 미래기술컨퍼런스 참관 - 분산 및 준비도 자가학습 가속기 프로세서 국책과제 성과 전시
▲2024 인공지능반도체 미래기술컨퍼런스에 참가한 네패스네패스가 지난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주최하는 ‘2024 인공지능반도체 미래기술 컨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연구개발 국책과제인 ‘모바일 자가 학습 가능 재귀 뉴럴 네트워크 프로세서 기술 개발’의 성과를 선보였다. ▲ 경량 자가학습 가속기 IP가 내장된 AI SoC Chip & 동작 검증 EV이 행사는 AI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인공지능반도체포럼,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주관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참가 기업의 AI 반도체 개발 성과 전시뿐 아니라 과기정통부 및 국내외 전문가들의 업계 기술 트렌드 및 주요 정책 동향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에서 네패스는 객체 검출/분류형 모바일 자가학습 신경망가속기(NPU) IP가 내장된 RISC-V 듀얼코어 기반의 SoC ‘야뉴스(Janus)’전시와 분산 자가학습 IP 구동 및 객체 픽셀검출(Segmentation) 자가학습 IP 구동 시스템을 시연하였다. 특히 ‘야누스’는 최근 사용자 개발 환경에서의 인공지능 모델 최적 재구성(재학습)을 위한 ‘온-디바이스 학습’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장 니즈에 맞춰 개발된 경량 자가학습 가속 IP 내장 인공지능 반도체이며, 이는 신규 사용자 인증을 통한 스마트키, 드라이버 모니터링 시스템 등 지능형 자동차 시스템 분야부터 불량 검출 및 인식률 개선을 위한 현장 학습 시스템 등 지능형 팩토리 분야까지 적용 분야가 다양하다.네패스는 지난 2020년 4월 과기정통부가 주관하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사업’에서 ‘모바일 자가 학습 가능 재귀 뉴럴 네트워크 프로세서 기술 개발’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5개년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 및 보안 데이터의 프라이버시와 사용자 환경의 최적화를 위한 학습 기능을 디바이스 내 탑재하여 경량 준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및 분산 학습을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력 확보를 목표로 한국전자기술연구소(KETI), 충북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등 다수의 기관이 협력하고 있다. 네패스는 자사가 보유한 AI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모바일 자가 학습’, ‘인공지능 모델 경량화’등 온디바이스에 특화된 AI 원천기술 확보뿐만 아니라 온디바이스 AI 통합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의 네패스 부스 방문네패스의 주관책임자인 성윤현 연구소장은 “온디바이스용 AI 반도체 시장이 개화되고 있으며 특히 디바이스 단에서 학습이 가능한 AI 반도체는 우리 실생활에서 응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며 “본 사업의 결과물은 온디바이스용 AI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원천적인 기술 확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4-12-31 -
네패스, AI 혁신 전략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
네패스가 지난 12월 17일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Copilot Studio의 적용 사례와 미래 방향을 발표했다. 발표를 맡은 권효진 파트장(CIO본부 정보시스템팀)은 AI Build-Up을 통해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인프라를 구축하고, 다양한 형태의 대용량 데이터를 확보하여 유연한 업무 환경을 조성 중인 자사 사례를 공유하며, 이를 통해 AI 훈련과 개인 AI 비서를 활용해 빠른 의사결정을 돕는 데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네패스는 지난 8월 M365 Copilot을 도입하여 Teams, Outlook, Word, Excel, PowerPoint 등 다양한 M365 제품에 생성형 AI 기능을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내년부터는 Copilot 플러그인과 Action Copilot을 도입해 시스템 자동 제어 AI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또한, 네패스는 HR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HRSM 서비스를 도입하여 HR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하고 HR 업무 진행 현황의 시각화 및 효율화를 이루었다. 데이터 기반의 평가와 자동화를 통한 AI KPI 평가 시스템을 구축해 평가 방식을 개선했으며, 연말정산 AI Copilot 도입으로 실시간 문의 대응과 HR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켰다.향후 네패스는 PBL(Project Based Learning)을 도입해 AI 제조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 직원이 AI 비서를 활용할 수 있도록 Copilot 파워유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권 파트장은 네패스가 지속적으로 AI 혁신을 추진하고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안정적인 시스템을 공급 및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12-26 -
[DIC2024] 김종헌 네패스 “FO 패키징 ‘생산증가 원가절감’…韓 디자인-패키징 공급망 강화해야”
김종헌 네패스 기술개발본부장은 21일 오후 1시부터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FKI 타워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홀에서 개최된 ‘제2회 DIC(DigitalDaily Industry Conference) 2024’에서 ‘고성능 제품에서 첨단 패키징 기술의 동향과 역할’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AI 시대의 반도체 생산을 위한 패키징 역시 생산능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네패스는 실리콘 인터포저 대비 팬아웃(FO) 패키징 기술을 통해 생산성뿐만 아니라 원가경쟁력도 가져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2.5D 패키징을 커버하고 여러가지 칩들을 한 패키지 안에 넣을 수 있는 기술 등 투트랙으로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김종헌 네패스 기술개발본부장은 21일 오후 1시부터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FKI 타워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홀에서 개최된 ‘제2회 DIC(DigitalDaily Industry Conference) 2024’에서 ‘고성능 제품에서 첨단 패키징 기술의 동향과 역할’을 주제로 네패스의 경쟁력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김 본부장은 “현재 반도체 시장은 전략이 아니라 전쟁과 같은 양상이며, 자국화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잘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라며, “첨단 패키징 분야 역시 마찬가지”라고 운을 땠다.그는 무어의 법칙을 따르기엔 부담감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2년마다 2배의 스케일링을 따라가야 하는 무어의 법칙의 곡선이 꺾였다는 것. 기존 칩을 디자인해서 잘 동작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약 5억불이 필요했다. 또 웨이퍼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3~4천만원이 필요하다. 비용적인 면도 그렇지만 제조적 어려움과 긴 개발기간이 발목을 잡는다.<사진= 네패스><사진= 네패스>- 하략 - [원문보기 = 디지털데일리]
2024-11-22 -
[뉴스]네패스, ISMP 2024 참가
네패스가 첨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 동향을 다루는 국제 학술대회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ISMP)'에 참가한다. 금번 22회를 맞는 ISMP는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주관하에 11월 6일부터 8일까지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진행되며, 패키지에 가해지는 응력 및 신뢰성을 연구하는 유럽 전문 학술대회 'IRSP'와 공동 개최된다. 네패스는 11월 6일~7일 양일간 로비 2번 부스에서 칩렛 및 2.3D 기술을 비롯한 네패스의 핵심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11월 6일 오후 3시 50분에는 반도체연구소 선행기술파트 이정원 수석의 "Chip-let Heterogeneous Integration Packaging Based on Fan-out RDL Interposer Technology” 발표가 진행된다. 좋아요 0명댓글달기
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