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K-반도체 전략 보고대회' 열려....네패스, 반도체 패키징 대표기업으로 참석
5월 13일 정부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서 'K-반도체 전략 보고대회'를 열고 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이번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와 지자체장들이 참석했으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리콘웍스, 네패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참석했다.정부는 우선 국내 반도체 공급망 보완을 위해 ▲소부장 특화단지 ▲첨단장비 연합기지 ▲첨단 패키징 플랫폼 ▲팹리스 밸리를 조성, 알파벳 K자 모양의 ‘반도체 벨트’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진행 중인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확실한 주도권도 가져오겠다는 구상이다.이를 위해 관련 기업에선 10년간 510조 원 이상의 투자에 나서고 정부에선 세액공제 확대와 금융지원 및 인프라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이날 행사에는 네패스 반도체 사업총괄 정칠회 회장이 참석해 기업 발표에 나섰다. 정칠희 회장은 “회사가 보유한 첨단 패키징 기술로 반도체 후공정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며,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개발로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비전을 밝혔다.▲반도체 주요 기업들이 'K-반도체 전략 보고대회'에 참석해 발표하고 있다. 박성현(왼쪽부터) 리벨리온 대표이사, 정칠희 네패스 회장,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K-반도체 전략 보고대회'에서 발표하는 정칠희 회장[사진출처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I20210513_0017447852/ https://newsis.com/view/?id=NISI20210513_0017447854]
2021-05-13 -
[보도] “초소형-고성능 패키징 기술로…韓 반도체 판도 바꿀 것” - 동아일보
“초소형-고성능 패키징 기술로…韓 반도체 판도 바꿀 것”[게임체인저]<3>네패스사각형 패널(FOPLP) 기술로 가격경쟁력 확보 올해 초 정칠희 삼성전자 고문이 네패스의 회장으로 영입됐다. 정 회장은 삼성전자를 세계 최대의 ‘반도체 왕국’으로 이끈 주역 가운데 한 명이다. 그는 1979년 삼성전자에 입사한 뒤 반도체 메모리개발담당 수석연구원으로 시작해, 반도체총괄 시스템 LSI사업부 LSI개발실 실장, 반도체연구소 소장을 거쳐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원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동문회 회장도 맡고 있다.이 정도의 거물급 인사라면 함부로 움직이지 않는다. 전망 없는 회사에서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결과마저 좋지 않다면 이제까지 쌓아올린 자신의 평판마저 훼손될 수 있어서다. 정 회장이 40년간 재직한 삼성전자의 다음 행선지로 네패스를 선택했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창업자 이병구 회장이 왜 정 회장을 영입했다고 보시나?“이 회장에게 물어보셔야 되는데…. 먼저 최근 반도체산업의 흐름을 한번 보자. 아시다시피 한국 반도체 산업은 메모리 위주로 성장해 왔다. 비메모리 산업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후공정인 OSAT(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반도체 패키지·테스트 외주업체)를 포함해 전반적으로 취약한 생태계를 지니고 있다.비메모리 제조 기반의 산업 생태계는 대만 등 중국계 업체에 편중돼 있다. 그런데 글로벌 칩 메이커들의 제조기지 이원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손에 반도체 웨이퍼를 들고 기자회견을 한 데서 보듯이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문제는 미중 반도체 갈등 과정에서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삼성전자 등 국내업체들도 메모리처럼 일괄공정으로 제조하던 비메모리 제품을 외주 생산 생태계를 활용하여 효율을 높이는 현상 또한 가속화하고 있다. 이 같은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최근 국내 시스템반도체 플레이어들이 각자 분야에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이를 통해 해외 시스템반도체 고객들의 공급 채널 이원화가 본격화되고, 국내 기업들이 제조 인프라 확대와 공급 지배력 강화라는 선순환 사이클에 올라타게 된다면 국내 OSAT산업은 고속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네패스도 이런 국내외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비메모리 분야의 후공정도 패키지와 테스트 등으로 세분화되고 연구개발에도 박차를 가해야한다. 이런 상황에서 이를 총괄할 사람이 필요하지 않았겠나 싶다.”- 본인이 네패스를 선택한 이유는?“이 회장은 2010년 무렵 내가 나노융합 산업연구조합 이사장으로 있을 때부터 같은 회원으로 알고 지냈다. 중소·중견기업들은 회사가 일정 규모 이상으로 커지면 그 상태에서 만족하고 더 이상 키우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더 커봐야 골치 아픈 문제도 많이 생기고, 가업승계 문제도 있는 것 같더라.그런데 네패스는 창업자 본인이 다른 길을 엿보지 않고 반도체 사업을 확장하는데 열정을 보이고 있다. 최근 수년간 공격적으로 투자 계획을 세우고, 집행도 많이 했다. 창업자의 열정이나 이미 보유한 기술적 역량을 보건데 네패스는 발전 잠재력이 대단히 높다고 봤다.”네패스 이 회장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다. 그 영향이 회사 전반에 물씬 배어있다. 회사이름인 ‘네패스’도 히브리어로 생명이란 뜻을 지닌 ‘네패쉬’에서 따왔다고 한다. 명품 장수 기업이 되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았다.일정 규모의 성과를 이룬 뒤에도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이 발전을 추구하는 벤처기업인 가운데 종교적 신념이 강한 오너를 자주 볼 수 있다. 사업을 단순히 부의 축적 수단으로 보지 않고 하늘이 자신에게 부여한 소명으로 여기는 경향 때문이다. 네패스도 그런 기업이 아닐까 싶다.- 구체적으로 네패스가 가진 핵심 기술, 이 분야 ‘게임 체인저’라고 부를만한 기술은 무엇인가?“팬아웃 패널레벨 패키지(FOPLP) 기술과 이를 활용한 초소형,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 기술이다. 반도체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반도체칩과 외부로 연결해야할 전도 패드의 면적이 작아져서 반도체칩의 바깥쪽으로 RDL(Re-distribution, 재배선)공정을 활용하여 확장한다. 이를 팬아웃(Fan-out) 패키지라고 한다.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팬아웃 패키지는 12인치(직경 300mm) 크기 원형 모양의 웨이퍼공정으로 만들고 있다. 반면에 네패스는 600mm 정사각형 패널공정으로 제조한다. 단순 계산으로 하면 12인치 웨이퍼의 5배 분량을 동시에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원가경쟁력 측면에서 월등히 앞설 수 있다. FOPLP는 글로벌 대형 고객사들로부터 특별히 주목받고 있는 네패스의 고유 기술이다.”- 하 략 -[원문보기 =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429/106671833/1]
2021-04-29 -
[보도]「基板なし」が主流に 기판 공급 부족 "대란" - 日 Daily NNA
「基板なし」が主流に 一方で、基板不足の影響を受けていないパッケ?ジ? 門メ?カ?もある。 韓?のネぺスは、基板を使わずにウエハ??態のまま で最終工程まで?理できる技術を持つ。ネペスは今年1 月、この「ウエハ?レベルパッケ?ジ」技術を生かし て、CPUやメモリ?など複?のチップを?一のパッケ ?ジに形成してシステム化を?現する「システム?イ ン?パッケ?ジ」技術を公開した。基板とワイヤを用い る??方法に比べ、??面積を3分の1以下に縮小でき るメリットがあるという。 システム?イン?パッケ?ジ技術は、複?個の集積回 路(IC)またはパッケ?ジを積層することで、メモリ ?の大容量化や機能の複合化を?現する??技術。現在 は、スマホの主要部品の 73%がシステム?イン?パッケ ?ジで構成されているが、そのうちの9割は基板やワイ ヤを使った??方式のため、同技術の伸びしろは大き い。 - 하 략 -기판 공급 부족 “대란”기판 품귀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영향을받지 않은 패키지 업체도 있다.한국의 네패스는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웨이퍼 상태에서 최종 공정까지 처리 할 수있는 기술을 가지고있다. 네패스는 올해 1월 '웨이퍼 레벨 패키지'기술을 활용, CPU 나 메모리 등 복수의 칩을 하나의 패키지지 형성하고 시스템화를 실현하는 「시스템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기술을 공개했다. 기판과 와이어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실장 면적을 3 분의 1 이하로 줄일 수있는 장점이 있다고한다.시스템 인 패키지 기술은 복수의 집적 회로(IC) 또는 패키지를 적층함으로써, 메모리의 대용량화와 기능의 복합화를 실현하는 구현 기술. 현재 스마트 폰의 주요 부품의 73 %가 시스템 인 패키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90 %는 기판이나 와이어를 사용한 기존 방식이기 때문에 기술의 성장성이 높다.- 하 략 -[원문보기= Daily NNA https://bit.ly/3eF8QzM]
2021-04-27 -
[보도] 폴리텍 청주캠 - 네패스 맞춤형 인력양성 업무 협의-충청타임즈
한국폴리텍대학 청주캠퍼스는 최근 이 대학본부 회의실에서 ㈜네패스와 스마트팩토리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업무 협의를 실시했다.- 하 략 -[원문보기 = 충청타임즈 http://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654459]
2021-04-21 -
산업기술융합정책관 김상모 국장, ns3캠퍼스 현장 방문
지난 4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 김상모 국장이 ns3캠퍼스를 방문했다.이번 현장 방문은 지난 1일 '소재·부품·장비 개방형 기술확보 성과포럼'에서 해외 M&A 우수 성공사례로 소개된 네패스를 직접 방문하여 첨단 패키징 기술 인수 배경 및 기술의 후속 상용화와 개발 현황, 비즈니스 확대 과정에서의 애로사항 등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자리에는 네패스 정칠희 회장과 반도체사업부 김남철 사업부장, 네패스라웨 송치중 사업부장, 전사CMO실 김태훈 실장, 전사CTO실 김종헌 실장을 비롯해 산업기술융합정책관 김상모 국장과 관련자 4명이 참석했다.이날 정칠희 회장은 "M&A를 통해 Global Top-Tier Fabless 고객 확보를 위한 경쟁력을 마련하고 고신뢰성 기술을 도입할 수 있었다"며 "세계 최초 FOPLP 양산과 시스템 반도체 후공정 파운드리 허브 구축을 통해 국가 반도체 산업 발전에 공헌할 것"이라 말했다. 또한 "우수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주변 정주 여건을 개선해야 하고 향후 지속적인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한 가운데 투자자금 지원 및 공공시설 인프라 구축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들은 1시간 가량의 회담을 진행한 후 ns3캠퍼스 반도체 생산 라인 윈도우 투어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2021-04-15 -
네패스, '소재·부품·장비 개방형 기술확보 성과포럼'서 해외 M&A 우수 사례 발표
▲ '소재·부품·장비 개방형 기술확보 성과포럼'에서 발표하는 이상민 본부장(유튜브 스트리밍 캡쳐)네패스가 지난 4월 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소재·부품·장비 개방형 기술확보 성과포럼'에서 해외 M&A 우수 성공사례로 소개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소재부품장비투자기관협의회(KITIA)에서 주최한 이번 성과포럼에서는 해외 M&A를 통해 100대 소부장 관련 핵심전략기술을 확보한 기업들이 소개되었으며, 네패스는 지난 2019년 미국 데카테크놀로지(Deca technology, 이하 데카)의 필리핀 제조기지 인수 사례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기획조정실 기획본부 이상민 본부장은 "네패스는 고객사가 원하는 비용절감과 고신뢰성 제품 양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PLP(Panel Level Package) 요소 기술을 보유한 데카에 M&A를 제안했고, 데카의 필리핀 제조라인 인수를 포함해 한국에 제조 양산기지를 확보하는 데 총 2천억원을 투자했다"며 "네패스는 수년전부터 PLP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진행해왔지만, 국내 시장에서 삼성전자 외 마땅한 수요처가 없어 고객사 대부분이 위치한 미국 시장 진출을 고심했고, 그 중 알게된 기업은 바로 데카였다"고 배경을 설명했다.이어 "네패스는 첨단 공정인 PLP의 퍼스트무버로서, 시스템 반도체 전체 생산량의 50%를 점유하고 있는 중화권 업체들과 경쟁해 대형 고객사를 유치하고 한국 반도체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한편, 네패스는 데카테크놀로지 인수 후 필리핀 현지 반도체 생산 법인 ‘네패스하임(nepes hayyim)’과 국내 FOPLP 전문 법인 ‘네패스라웨((nepes laweh)’를 설립하며 후공정 파운드리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2021-04-02 -
네패스, 경북대와 산학협력 협약 체결
네패스가 지난 4월 1일 ns2캠퍼스에서 경북대학교와 산학협력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네패스 이병구 회장, 정칠희 회장, 반도체 사업부 김남철 사장, 경북대학교 홍원화 총장 및 교수진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다. 네패스는 이번 산학협력 업무협약을 통해 경북대학교와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인적자원의 직무역량 개발과 진로·취업체계 구축을 위해 상호공동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경북대 재학생 및 졸업생의 취업 추천 ▲재학생 대외활동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직무역량 확대를 위한 상호 지원 및 인적 교류 ▲공동연구 및 정보/학술 교류 등이다. 협약식을 위해 네패스를 방문한 경북대학교 홍원화 총장과 교수진은 네패스 회사 소개 및 기술 소개를 들은 후 ns2캠퍼스와 ns3캠퍼스 반도체 생산 라인 윈도우 투어로 이날 일정을 마무리했다. 한편, 이날 네패스 이병구 회장은 인재 발굴 및 양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경북대학교로부터 감사패를 수여 받았다.
2021-04-02 -
네패스 공채 9기 입문교육 수료식 성료
▲이병구 회장의 특강이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 지난 3월 5일, 네패스 공채9기 신입 입사자 35명이 입문교육을 마치고, 웨스트오브가나안호텔 연수원에서 수료식을 가졌다. 네패스는 코로나19로 인해 채용의 기회가 축소되는 시기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존재 목적은 고용창출’이라는 CEO의 경영철학 아래 정기 공채를 진행하였으며 신입 입사자 35명은 네패스 자체 최고 경쟁률(34:1)의 기록을 뚫고 선발되었다.지난 2월 15일부터 3월 5일까지 진행된 공채 9기 입문교육은 네패스의 핵심가치와 비전, 비지니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과정으로 진행됐으며, '태양광랜턴만들기' 봉사활동을 통해 네패스의 기업문화를 몸소 실천해보는 시간도 가졌다. 수료식 당일에는 CEO특강도 진행됐다. 이병구 회장은 신입사원들에게 '사람의 마음'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일구는 경영 방식인 '4차원 경영'을 소개하며 "바다물이 민물과 다른 점은 3%의 소금이 녹아있기 때문”이라며 “내게 주어진 하루 중 3%를 가치관 형성에 투자해서 바다같은 유익함을 줄 수 있는 인재가 될 것"을 당부했다. 끝으로 이병구 회장은 '신입사원으로서 사회에 첫발을 내딛은 여러분들이 앞으로 성실히 자기개발하여 네패스와 발맟춰 미래로 나아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한편, 이번 입문교육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 실천을 위해 2개 조로 나누어 운영했으며, 디지털 툴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 방식을 적극 활용하였다. 또 강의 내내 마스크 착용을 강제하고 휴식 시간마다 강의실 환기 및 소독을 실시하는 등 철저한 방역관리 지침에 따라 진행되었다.
2021-03-09 -
[보도]Employee-centered management drives success-The Korea Times
By Kim Bo-eunNepes, a leading firm in packaging and test services for semiconductors, have racked up a series a firsts in the parts and materials industry.It became the first local company to commercialize fan-out wafer level packaging and also became the world's first company to commercialize panel-level packaging. In addition, it is the first in the industry to mass produce neuromorphic chips used to model the human brain.- 하 략 -[원문보기 = The Korea Times http://www.koreatimes.co.kr/www/tech/2021/03/129_305102.html]
2021-03-08 -
[보도]네패스, 반도체 총괄 회장에 정칠희 삼성전자 고문 영입
삼성전자 반도체 신화 주역퀀텀닷·뉴럴프로세싱 기술개발 주도반도체 패키징 경쟁력 강화 나서네패스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사장을 역임한 정칠희 고문을 회장으로 영입했다.1일 업계에 따르면 네패스는 정칠희 삼성전자 고문을 회장으로 선임했다. 정 고문은 지난달부터 네패스 상근 회장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회사 관계자는 “(정 회장이)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 략 -[원문보기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10301000038]
2021-03-02 -
산업부 제 2회 중견기업 정책위원회 개최… 네패스, ‘첨단 반도체 후공정 산업 적극 지원해야’
(사진제공 : 중견기업연합회)지난 2월 2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제 2차 중견기업 정책위원회가 열렸다. 이 날 회의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이병구 네패스 회장 등 20여명의 정부위원과 민간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2021년도 중견기업 성장촉진 시행계획안을 심의·의결하고 관계 기관들의 정책 추진현황 점검 및 중견 업계의 애로사항 등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민간위원으로 참석한 네패스 이병구 회장은 ‘반도체 산업에서 첨단 공정 기술을 보유한 업체들은 글로벌 탑티어 기업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상황’, 이라며 ‘국내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위해 테스트 베드 구축 등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중견기업이 가진 혁신 역량과 잠재력이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는 산업 강국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뒷받침하겠다"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회복과 도약의 해를 위해 중견기업이 혁신 성장과 일자리 확대를 위해 앞장서 주실 것을 당부한다"고 전했다.한편, 산업부는 금번 발표한 ‘등대 프로젝트’를 통해 정부는 미래차, 차세대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등 유망 업종을 중심으로 중견기업들의 신사업 진출을 유도하는 한편, 8대 공공연구소와 중견기업을 연계해 디지털·그린 전환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으로 2024년까지 총 100개 기업, 1조원대 민간 투자를 발굴할 예정이다.
202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