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네패스그룹 2023년 시무식 이모저모
네패스가 새해 첫 날을 맞아 지난 1월 2일 시무식을 진행했다. 이번 시무식은 각 사업부별로 개최되었으며 사업부 10대 뉴스와 네패스인상 시상 , 사업부장 메세지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반도체사업부Ark 사업부라웨사업부EM 사업부야하드 사업부ENC 사업부경영지원부문
2023-01-03 -
차세대 반도체 핵심 경쟁력, ‘패키징 기술’에 달렸다 - 경향신문
충북 괴산의 반도체 패키징업체 네패스의 클린룸에서 한 직원이 일하는 모습. 네패스 제공기판·구리선 없앤 ‘팬아웃 WLP’여러 칩 하나로 포장 ‘SiP’까지고성능 반도체 수요 맞출 기술력삼성전자 등 글로벌 업체들도고급 패키징 기술에 투자 확대초미세공정 차이 극복할 기술지난해 6월 미국 백악관은 반도체·배터리·희귀 광물·의약품 등의 글로벌 공급망을 조사한 뒤 ‘100일 공급망 리뷰’ 보고서를 만들어 공개했다. 주요 산업에서 중국의 ‘굴기’를 막고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 보고서는 이후 조 바이든 대통령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의 근간이 됐다.이 보고서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반도체 제조를 담당하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당연히 언급됐다. 그런데 여기에 ‘네패스’라는 한국의 반도체 패키징(포장) 업체가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공급망 보고서는 네패스를 “고급 패키징 기술력을 보유한 글로벌 패키징 10대 기업”으로 꼽았다. 네패스는 직원 1000여명 수준으로, 국내 동종업계에서도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 백악관은 왜 동아시아의 작은 기업 네패스를 주목했을까.그 이유를 엿보기 위해 지난달 4일 충북 괴산 청안면의 네패스 공장을 찾아가 봤다. 네패스 클린룸은 대기업 반도체 공장의 그것과 다름없어 보였다. 공기순환장치와 고성능 필터가 갖춰진 2800평(9270㎡) 크기 클린룸에서 연구원들은 흰 방진복과 마스크 등으로 몸과 얼굴을 가리고 두 눈만 겨우 내놓고 있었고, 에어샤워를 거쳐야 출입이 가능했다. 이곳 클린룸의 청정도는 클래스 100~1000 수준이다. 1세제곱피트당 크기 0.5㎛(마이크로미터)인 먼지가 100~1000개 정도까지만 허용될 만큼 깨끗하다는 의미다.네패스는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제조) 공장에서 제작된 반도체를 기기 내에 실을 수 있도록 입출력단자(I/O)를 배치하고 포장·가공하는 패키징 업체다. 삼성전자나 대만의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 TSMC 등도 자체 패키징을 한다. 그러나 파운드리가 소화할 수 없는 물량은 네패스 같은 전문 패키징 업체가 맡는다. 팹리스(생산라인 없이 설계만 하는 업체)가 직접 패키징 업체를 선정하기도 한다. 국내에는 메모리 반도체를 대상으로 한 패키징 업체가 대부분으로, 네패스 같은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 업체는 손에 꼽힐 정도다. 예전에는 패키징이 낮은 수준의 기술로 취급됐다. 그러나 이젠 사정이 다르다. 초미세공정이 한계에 가까워지며 고도의 집적이 점점 어려워지고, 막대한 비용이 들거나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여러 개의 칩을 함께 배치하거나 위로 쌓는 방식을 통해 반도체의 처리 속도를 높이는 패키징 기술이 더 주목받고 있다. 하나의 칩으로 비슷한 기능을 구현할 경우 2년 이상 걸리지만, 여러 칩을 묶는 패키징을 잘하면 6개월 정도면 되기 때문이다. -하 략-[원문보기 = https://www.khan.co.kr/economy/industry-trade/article/202212212124015 ]
2022-12-22 -
네패스, ‘2022 인공지능반도체 미래기술 컨퍼런스’ 참가…연구 성과 선보여
네패스가 지난 12월 12일 ‘2022 인공지능반도체 미래기술 컨퍼런스’에 참석해 자사의 인공지능 연구 개발 성과를 선보였다.이 행사는 국내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주관으로 올해 3회째 개최되었다. 행사 참가기업은 부문별 AI 반도체 개발 성과를 전시하고 국내외 전문가가 업계 기술 트렌드 및 주요 정책 동향을 발표한다. 이번 행사에서 네패스는 국책과제인 ‘모바일 자가학습 가능 재귀 뉴럴 네트워크 프로세서 기술’의 연구 성과를 전시하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직접 기술 시연 및 사업 설명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한편, 네패스가 금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End-product단에서 학습을 Add up 시키는 원천기술로, 향후 스마트팩토리, 물류센터, 드론, 자동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총괄기관인 텔레칩스가 추진하는 각 1, 2, 3 세부 과제를 통합해 자율주행차용 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인캐빈 솔루션 개발에도 응용될 예정이다.
2022-12-15 -
네패스, Zendesk CX Day 2022에서 디지털 혁신 사례 발표
네패스의 활용사례(내부 IT요청에 대한 결재 Process 최적화를 통한 업무 투명성 확보)를 발표 중인 경영정보파트 권효진 파트장네패스가 지난 11월 29일 소프트웨어 기업 젠데스크가 주최한 ‘Zendesk CX Day 2022’에서 자사가 도입한 ITSM(IT Service Management)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ITGC(IT Technology General Contorls, 정보기술일반통제) 대응 사례를 발표했다.
2022-12-15 -
[보도자료]네패스 코코아팹, 청소년 SW·AI교육 사업 20억 1차 수주
네패스 코코아팹(CIO본부 교육사업팀)이 교육부/한국과학창의재단 주관, ‘디지털 새싹 캠프’ 운영기관으로 선정되었다.디지털 새싹 캠프는 방학 중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열리는 SW·AI 교육 캠프로, 지난 8월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 일환으로 마련됐다.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총 100만명 디지털 인재 양성을 하는 것이 목표다. 금번 선정된 운영기관은 대학을 제외한 민간기업의 경우 총 16개 기관으로, 80여 곳이 넘는 국내 유수의 교육업체 들 간의 치열한 평가를 거쳐 선정되었다. 1차 수주 규모는 약 20억원이며, 네패스 코코아팹은 23년 1월부터 강원, 서울, 경기, 충북 등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SW 및 AI교육과정을 개설, 모집, 운영을 진행하게 된다.[관련기사]네패스 코코아팹, AI 교육 ‘디지털 새싹 캠프’ 운영기관 선정 – ZDNET korea네패스 코코아팹, 청소년 ‘디지털 새싹 캠프’ 운영기관 선정 – 헬로티
2022-12-14 -
양향자 국회의원, ㈜네패스 청안공장 방문·특강 펼쳐 - 충북일보
양향자 국회의원이 (주)네패스라웨 청안공장을 방문해 임직원들에게 '과학기술, 패권국가'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주)네패스[충북일보] 양향자(무소속·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이 28일 충북 괴산에 위치한 ㈜네패스라웨 청안공장을 방문했다.㈜네패스라웨는 청주에 본사를 둔 ㈜네패스의 자회사로 반도체 패키징 제조 업체다.이날 행사는 ㈜네패스라웨가 국회 반도체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양 의원을 특강차 초청해 진행된 것이다.괴산 청안 공장 대강당에서 임직원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날 특강은 '과학기술, 패권국가'를 주제로 진행됐다.-하 략-/ 성지연기자[원문보기 = 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741686]
2022-11-29 -
네패스, ‘제2회 아이디어의날 행사’ 개최
네패스는 지난 11월 18일 충북대학교 융합기술원에서 ‘제2회 아이디어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임직원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진행한 이번 행사는 지난 7월에 열린 ‘제1회 아이디어의 날’ 행사 피드백을 반영하였다.금번 행사에서는 반도체사업부문 연구·개발 인력 S1, S2 사원 14명이 참여한 가운데 3개 조로 나누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의견 교환이 진행되었다, 또, 구체적인 OFI(Opportunity for Improvement)를 미리 공유하며 논의 전 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이날 논의는 P-mold 시 지그(Jig)와의 분리, Deep via, RDL 들뜸 등의 주제 토론 외에도 연구·개발 관련 자유 토론으로 구성되었고, 토론 이후에는 우수 아이디어 제출 조를 선정하여 시상을 진행했다.행사를 주관한 특허 파트의 유명훈 파트장은 “적극적으로 많은 아이디어를 도출해낸 사원들에게 감사드린다.” 라며, “앞으로 본 행사를 통해 더욱 다양한 부서의 아이디어가 모여 우리 회사가 산업 내에서 탄탄한 뿌리를 내리는 데에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2022-11-22 -
제조업 DX(Digital Transformation) 혁신 선도.. 네패스 우수 사례 발표
“DX(Digital Transformation)는 각 산업군에서 자사가 가지고 있는 모든 역량을 기반으로 정의할 수 있다.”지난 11월 17일 ‘중견기업 혁신 컨퍼런스’에서 네패스는 2022년 등대기업 신시스템 분야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발표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정보시스템팀 이승표 팀장과 팩토리정보화파트 윤승택 파트장은 네패스의 DX 전환의 방향인 Process, Data, People에 대한 철학과 신시스템 도입 관련 효과에 대해서 소개 했다.이승표 팀장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변화에 있어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며, “반도체, 화학, 소재 분야의 제조 DX화 달성으로 지능화, 자동화뿐 아니라 DX 인재 육성 및 문화 정착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이 팀장은 자사에서 적용한 ▲설비 자동화 ▲모바일 생산환경 강화 ▲업무 프로세스 정량화 ▲생산계 시스템 일원화 등을 통한 작업 효율성 증대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2024년까지 각 부문별 DX 진척도를 22년 47%에서 67%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 기관과의 긴밀한 협업과 디지털 역량을 갖춘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동반 성장을 이루어나가겠다고 전했다.이승표 팀장은 “네패스는 제조업/중견기업 중에서 가장 많은 영역에서의 DX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을 갖고 있다.”며, “제조업 기반에서 다양한 형태의 혁신 DX 사례를 선제 적용하고 전파함으로써 국내 제조 생태계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2-11-22 -
[보도자료]네패스라웨 ‘팬아웃 패키지’, 산자부 ‘차세대 세계일류상품’ 선정
네패스라웨의 팬아웃 패키지(FO PKG)가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어 인증을 획득한다.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은 7년 안에 세계 점유율 5% 가능성이 있는 품목에 수여하는 인증 자격이다.네패스라웨는 지난 18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2022년도 ‘세계일류상품 인증서 수여식’에서 ‘팬아웃 패키지’상품이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팬 아웃방식 패키지는 칩 사이즈가 점점 작아지며 주목받기 시작한 기술로 스마트폰, 자동차,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첨단 IT 기기의 발달과 함께 채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금번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네패스라웨의 팬아웃패키지는 세계 최초로 구축된 600mm 사각형 기반의 양산라인에서 생산되며, 칩의 6면을 모두 보호하는 방식으로 다른 팬아웃 패키지 대비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다.이번 인증으로 네패스라웨는 지사화 사업,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 등 해외 진출 지원 사업과 중견기업 전용 연구개발(R&D) 사업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이 날 행사에서 인증서를 수여받은 네패스라웨 이응주 파트장은 “네패스라웨가 보유한 첨단 패키지 기술의 성장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앞으로 국가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비메모리 산업 생태계의 핵심 밸류체인으로서,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이라는 인증에 걸맞은 성장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2-11-21 -
네패스, 산업통상자원부 선정 2022년 ‘10대 등대기업’ 선정
네패스가 디지털혁신분야의 모범 중견기업으로서 2022년 '10대 등대기업' 으로 선정됐다.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함께 '중견기업 혁신 콘퍼런스'를 열고 국내 기업이 '롤모델'로 삼을 만한 선도적이고 유망한 중견 등대기업 10곳에 선정패를 수여했다. 등대기업은 △중견기업 사업재편 및 고도화 지원 △내수 중심 기업을 중심으로 해외시장 집중 개척 △디지털 전환 인식 제고 및 실질적 지원 연계 등을 추진해 성과를 낸 모범사례다. 산업부가 지난해 10개 기업을 선정한 데 이어 올해도 10곳을 선정했다.이번에 선정된 기업은 신시스템 분야 4개, 신사업 분야 4개, 신시장 분야 2개다. 네패스는 신시스템 분야의 혁신 우수사례로 뽑혀 피아이첨단소재, 이화다이아몬드공업과 함께 성과를 소개했다.네패스는 생산공정에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자동화 솔루션을 적용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제조업 클라우드 생태계를 구축하고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선도한 점을 인정 받았다. <표> 2022년 등대기업 10개사 선정 개요
2022-11-18 -
[보도자료]이병구 네패스 회장 '중견기업인의 날' 금탑산업훈장 수상
네패스 이병구 회장이 반도체 재료 및 첨단 패키지 기술 국산화에 대한 공로로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금탑산업훈장은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뚜렷한 자에게 수여되는 정부포상으로 훈격이 가장 높다.7일 서울더플라자에서 열린 중견기업인의 날 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와 유공자 등 200여명 이 참석하였으며 대한민국 경제·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34명에 대한 포상이 이뤄졌다.이병구 회장은 ▲첨단반도체 패키지 선도 기술 지속 개발 ▲국내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생태계 구축 ▲소외된 지자체에 대규모 투자로 고용창출과 지자체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이병구 회장은 "이번 수상은 우리 네패스 구성원들이 그동안 흘린 땀과 고난과 눈물의 결정체를 업계로부터 인증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의 기쁨과 영광과 감사를 n가족 모든 분들과 하나님께 올려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이 회장은 "첨단기술과 최고품질 개발에 보다 더욱 정진해서 global Top-Tier기업과 함께 K-반도체의 꿈을 이뤄나가는데 디딤돌과 통로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1990년 네패스를 창업한 이병구 회장은 최초로 반도체 재료를 국산화하며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어서 팹기술 기반의 웨이퍼레벨 패키지를 처음으로 양산하며 우리나라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2017년에는 업계 최초로 600mm 팬아웃패널레벨패키지를 상용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2019년 말 부터는 충북 괴산에 대규모 반도체 후공정 투자를 시작하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생태계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2022-11-07